희망의 집수리 서울시 하반기 사업이 시작됐습니다! 기준중위소득 60% 이하 저소득층 350가구를 모집하며, 반지하 등 열악한 주거환경 개선을 위해 최대 250만 원까지 지원합니다. 도배, 장판, 보일러, 안전시설 등 총 18개 항목에 맞춤 수리 제공! 7월 1일부터 31일까지 동주민센터에서 신청하세요. 주거취약계층을 위한 확실한 지원 정보를 지금 확인해보세요.
1. 희망의 집수리 사업이란?
1-1. 사업의 목적과 배경
서울시의 대표적인 주거 취약계층 지원사업인 '희망의 집수리'는 2009년부터 시작되어 2025년 기준 누적 2만 1천 가구 이상에게 실질적인 주거 환경 개선을 제공해온 정책입니다.
이 사업은 열악한 환경에 놓인 저소득층 가구, 특히 반지하, 고령자 가구, 침수 피해 주택 등을 대상으로 주택 내부 수리 비용을 지원하여 보다 안전하고 쾌적한 주거 공간을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서울시는 2025년에도 총 1,000가구 지원을 목표로 상반기에 650가구를 지원했고, 이번 하반기에는 350가구를 추가 모집하여 남은 대상자들의 실질적인 생활환경 개선을 돕습니다.
1-2. 2025 하반기 지원 규모
- 모집 가구 수: 350가구
- 지원 금액: 가구당 최대 250만 원 이내
- 수리 항목: 18종 (도배, 장판, 보일러, 단열, 안전설비 등)
- 신청 기간: 2025년 7월 1일 ~ 31일
- 신청 장소: 관할 동주민센터
2. 신청 대상 및 자격 요건
2-1. 소득 기준: 기준중위소득 60% 이하
‘희망의 집수리’는 기준중위소득 60% 이하 가구를 대상으로 하며, 가족 구성원 수에 따라 다음과 같은 기준이 적용됩니다.
가구원 수 | 기준중위소득 (원) | 중위소득 60% 이하 (원) |
---|---|---|
1인 가구 | 2,392,013 | 1,435,208 |
2인 가구 | 3,932,658 | 2,359,595 |
3인 가구 | 5,025,353 | 3,015,212 |
4인 가구 | 6,097,773 | 3,658,664 |
5인 가구 | 7,108,192 | 4,264,915 |
6인 가구 | 8,064,805 | 4,838,883 |
유의사항: 기준중위소득 48% 이하 가구는 이미 수선유지급여 대상이므로, 이 사업에서는 중복 지원되지 않습니다.
2-2. 신청 불가 대상
- 2022년 이후 ‘희망의 집수리’ 지원을 받은 가구
- 수선유지급여 지원 중인 가구
- 고시원, 컨테이너, 무허가 건물 등 주택법상 주택이 아닌 경우
- 거주 중이지 않은 자가주택
2-3. 주택 조건
- 자가 및 임차 모두 가능
- 다만 자가일 경우 반드시 거주 중인 주택이어야 하며, 임대 목적 주택은 제외
3. 지원 내용과 항목
3-1. 최대 250만 원까지 지원
가구당 최대 250만 원 한도 내에서 필요한 항목을 선정하여 맞춤형으로 수리를 진행합니다.
특히 고령자 비율이 높은 가구를 위해 안전과 편의성 중심의 수리 항목이 강화되었습니다.
3-2. 지원 항목 18종 상세 안내
다음 항목들 중 1개 이상을 선택하여 수리 가능합니다.
- 기초 수리: 도배, 장판, 단열, 도어, 방수, 처마, 창호, 페인트, 천장보수
- 주방/욕실 관련: 싱크대, 타일, 위생기구(세면대·변기)
- 안전 및 건강: 전기작업(등기구 등), 제습기, 곰팡이 제거, 환풍기
- 화재 및 재난 대응: 화재·침수·가스누설 경보기, 차수판
- 난방: 보일러 교체 또는 수리
4. 신청 방법과 절차
4-1. 신청 기간 및 접수처
- 2025년 7월 1일부터 7월 31일까지, 해당 주소지 동주민센터에 방문 접수
- 신청 시 상담을 통해 신청 가능 여부 및 우선순위 확인 가능
4-2. 신청 시 제출서류
- 신청서(동주민센터 제공)
- 가족관계증명서 또는 주민등록등본
- 소득증빙자료 (건강보험료 납부확인서, 수급자 증명 등)
- 자가주택의 경우 등기부등본 등 소유권 증명
4-3. 선정 기준 및 우선순위
- 반지하, 옥탑방, 고령가구, 장애인 가구, 다자녀 가구는 우선순위 높음
- 자치구의 긴급 추천 가구는 선발 우선권 부여
- 거주 환경의 열악함 및 긴급성에 따라 현장 실사 후 최종 선정
5. 수리 진행 일정과 이후 절차
5-1. 심사 일정
- 8월 중 심사 및 현장 확인 진행
- 주거 상태 평가 및 실수요 여부 검토
서울시 ‘희망의 집수리’ 하반기 350가구 모집! 최대 250만 원 지원-2. 공사 시기 및 방법
- 2025년 9월부터 본격적인 수리 공사 착수
- 시공은 서울시와 협약된 전문 시공 업체를 통해 진행, 수혜자는 직접 비용을 부담하지 않음
- 공사 완료 후 만족도 조사 및 사후 모니터링 실시
6. 서울시 주거복지 정책의 방향
서울시는 주거 취약계층을 위한 정책적 배려와 실질적 지원을 통해 사회적 균형을 실현하는 데 집중하고 있습니다.
‘희망의 집수리’는 단순한 주택 보수가 아니라,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복지 정책입니다.
주택이 곧 삶의 기반이라는 관점에서, 서울시는 앞으로도 더 많은 지원 가구를 확대하고, 자치구와 협력해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한 맞춤형 지원을 추진할 예정입니다.
✅ 요약
- 신청 기간: 2025년 7월 1일 ~ 31일
- 지원 대상: 기준중위소득 60% 이하의 자가·임차가구
- 지원 금액: 가구당 최대 250만 원
- 신청 방법: 관할 동주민센터 방문 신청
- 공사 일정: 9월부터 순차적 시공
- 문의: 서울시 다산콜센터 ☎ 02-120